[책소개]
"정복심程復心은 자字가 자견子見이고 신안新安(구체적으로는 지금의 강서성 무원?源) 사람이며 은거隱居한 채 벼슬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성품이 도덕적으로 잘 갖추어졌고 백발이 되도록 경전 연구에 매진하고서는 깊이 터득한 바가 있어서 『사서장도四書章圖』 3권을 저술하였습니다. 원元나라 인종仁宗 연간에 지방에서 그의 저작에 대한 추천이 있어서 조정의 부름의 받고 연경燕京으로 가게 되었는데, 조정에 임용하려고 하였지만 자견이 원하지 않아서 즉시 무원의 향군박사鄕郡博士(지방 국립학교의 교수)에 제수하였습니다. 그는 그 직함을 받고 바로 퇴임하고서는 고향으로 돌아갔습니다. 그의 인품이 이와 같은데 어떻게 아무것도 모르면서 마음대로 이 책을 저술하였겠습니까.
―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 중에서

『사서장도은괄총요』는 조선 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관건이 되는 문헌이다. 퇴계의 사단칠정론과 『성학십도』, 그리고 남명의 『학기도』에 얽힌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이 책은 소중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 『사서장도은괄총요』는 그간 일실된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이제 기적처럼 발굴되어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조선유학사의 빈틈을 이어 주는 교량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 이승환(고려대 철학과 교수)

[목차]
사서장도총목四書章圖總目
강절성의 자문江浙省咨
예부의 보고서禮部呈
상서성 예방의 보고서省禮房呈
고위관료의 서문과 시朝貴序製
범례凡例
총요상권總要上卷
67조목凡六十七條 · 그림25개圖二十有五
총요중권總要中卷
40조목凡四十條 · 그림50개圖五十
총요하권總要下卷
53조목凡五十三條 · 그림48개圖四十有八
대학구문찬석大學句問纂釋
경1장 전10장凡經一章傳十章 · 그림23개圖二十有三
중용구문찬석中庸句問纂釋
33장凡三十三章 · 그림44개圖四十有四
논어주문찬석論語注問纂釋
20편凡二十篇 · 그림395개圖三百九十有五
맹자주문찬석孟子注問纂釋
상하14편上下凡十四篇 · 그림111개圖一百一十有一
총목 끝總目 畢

상권 차례

정복심과 그 저작을 추천한 공문서
강절등처 행중서성 자문江浙等處行中書省咨 20
예부가 중서성에 올린 정문禮部呈中書省 28
중서성 예방이 올린 정문中書省禮房呈 32
집현학사 조맹부의 자문集賢學士趙孟?咨 38

조정에 바쳐진 사서장도찬석에 조정 고관들이 지어 증여한 서문들의 총목經進四書章圖纂釋朝貴題贈序文?目
증서贈序 52
증시贈詩 98

자서自序
자서自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