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섹슈얼리티의 창으로 바라본
불교의 어제와 오늘
불교와 여성주의의 오래된 만남을 되살리다

젠더 문제가 들끓는 한국 사회에서 이제 여성주의가 관심을 받고 있다. 여성주의는 가려진 존재로서의 여성에 주목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해방과 평등에 친화적이다. 그런데 해방과 평등은 불교에서도 중요한 가치다. 이 책은 불교와 여성주의의 그러한 만남을 되짚어보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불교에서 여성주의는 새로운 주제가 아니다. 붓다의 실제 가르침에서 여성은 어엿한 깨달음의 주체였으나 후대에 경전이 전파·전승되는 과정에서 여성차별적으로 오염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다른 종교가 성과 관련된 문제를 금기시하거나 조심스러워하는 것과 달리 불교에서는 붓다 생존 당시부터 섹슈얼리티에 대한 합리적이고 구성주의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이 책은 불교의 초기 경전 속에 나타난 근본정신을 추적해 친여성적 측면을 되살리는 동시에 오늘날 한국 불교가 안고 있는 구체적인 젠더 문제들을 해소할 방안을 제시한다. 해방과 평등을 주장한 종교로서 불교에 관심을 가져온 독자라면 불교와 여성주의의 만남이 어색하지 않음을 알게 될 뿐만 아니라 불교와 여성주의의 발전적 만남을 더욱 기대하게 될 것이다.

[목차]
제1장 불교 발생의 시대적 배경과 여성 _ 류경희
1. 들어가기
2. 불교 발생의 시대적 배경과 불교의 등장
3. 초기불교 개혁의 한계: 대중신앙의 수용과 가부장적 여성관의 존속
4. 나가기

제2장 초기 경전을 통해 본 ‘여자의 일생’ _ 옥복연
1. 들어가기
2. 초기 경전에 나타난 여자의 탄생
3. 여성 친화적인 교리의 왜곡과 전승
4. 나가기

제3장 붓다, 여성을 칭송하다: 붓다의 십대 재가여성 제자 _ 옥복연
1. 들어가기
2. 붓다와 십대 재가여성 제자
3. 십대 재가여성 제자의 여성주의적 분석
4. 나가기

제4장 초기불교의 반페미니즘적 사유에 대한 고찰 _ 전재성
1. 브라흐만교의 반페미니즘적 사유의 비판
2. 초기 경전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이해
3. 반페미니즘적인 교리에 대한 이해
4. 나가기: 계율 정신의 올바른 이해

제5장 초기불교의 친페미니즘적 사유 _ 전재성
1. 들어가기
2. 성의 본질과 초기불교의 친페미니즘적 관점
3. 초기불교 교리의 성 평등성
4. 나가기: 초기불교의 친여성적 인식

제6장 초기 경전에 나타난 여성의 섹슈얼리티: 성적 욕구, 임신, 출산을 중심으로 _ 전재성
1. 들어가기
2. 초기불교의 성
...

[출판사 서평]
불교, 섹슈얼리티, 여성주의는 이어져 있다!
더 나은 해방과 평등을 향한 경전 안팎의 탐색

▶ 경전 안에서 재구성한 불교여성주의
여성은 역사 속 대부분의 ‘진보’에서 사실상 열외였다. 수많은 혁명에서 여성성은 잊히거나 미뤄졌으며, 오늘날에도 국내외 유력 정치인들의 여성 비하 발언은 끊이지 않는다. 사랑과 평화, 약자에 대한 연민을 기치로 내세운 종교에서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불교에서는 신자의 다수가 여성임에도 비구니는 종단 최고 지도자가 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다. 여성은 열등하며 깨달을 수 없는 존재라는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변질된 것이다. 불교의 역사를 끝까지 올라가보면 어떤 종교보다도 여성친화적인 성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불교와 섹슈얼리티』는 불교의 탄생 배경과 초기 경전으로 뛰어든다. 불교는 극심한 불평등과 견고한 카스트 제도가 지배하고 여성이 남성의 그림자로 살아야 했던 힌두 사회에 사회운동처럼 등장했다. 그러한 급진성 속에서 불교가 여성에게 보인 급진적 태도는 논리적 모순이 아니었다. 붓다는 깨달음을 얻는 데 성별의 차이가 없다고 가르쳤으며, 그에게는 언제나 칭송해 마지않던 10명의 재가여성 제자도 있었다. “전생에 업이 많아 여성으로 태어났다”는 말이나 ‘여성불성불론’, ‘여인오장설’, ‘비구니 팔경법’ 등이 오래된 사실처럼 여겨지는 것은 열등한 여성관의 역사가 불교에도 스며들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불교의 ‘참 정신’을 돌아보고 계율 정신을 이해함으로써 본래의 평등과 해방의 성격을 되살리는 일이 시급하다.

▶ 성장과 깨달음을 위한 섹슈얼리티
초기불교의 이러한 여성관이 진보적 당위에서만 비롯된 것은 아니다. 이는 깨달음의 여부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 불교의 성격을 기반으로 한다. 깨달음이라는 궁극적 목표 앞에서는 남녀의 구별이 없지만, 성욕은 현실적으로 남녀 모두의 수행과 깨달음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붓다는 생존 당시부터 이러한 고민을 비중 있게 취급했다. 따라서 섹슈얼리티를 대하는 붓다의 시각은 현실적이고 합리적이다. 성욕을 인간의 가장 큰 욕망 중 하나로 전제했기 때문에 자ㅡ위행위나 낙ㅡ태처럼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슈가 되는 주제들을 무조건 금기시하지 않았고 상황별로 나누어 접근했다. 생리나 임신 과정, 태아의 성장 등에 대한 설명은 종교사에서 유래
...